작성자 | 개정일 | ||
---|---|---|---|
작성일 | 2011-06-21 15:31:41 KST | 조회 | 3,836 |
첨부 | |||
제목 |
대은하결전병기, 윤영하함!
|
유명한 떡밥이지만 지금껏 그 위력을 제대로 계산한걸 본적이 없어서,
이번 기회에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계산은 mks 단위계를 기준으로 한다)
먼저, 기본형인 76mm/62구경장 함포의 스펙을 알아보자.
다른건 필요없고, 중요한건 포신길이, 포구초속, 포탄질량만 알면 된다.
포신길이 76mm*62=4.712m
포구초속 926m/s
포탄중량 12.34kg
포탄은 정지상태에서 장약의 폭발력으로 가속하여 발사된다.
폭압이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등가속도 운동으로 생각하면
포신내 포탄의 이동속도는 초속도+포구속도*1/2 가 된다.
따라서 0+926*1/2=463 으로 포탄의 포신내 이동속도는 463m/s 가 된다.
이제 포탄이 포신을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을 알 수 있다.
1초에 463m를 움직이는 포탄이 4.712m의 포신을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은
1:463=X:4.712
463X=4.712
X=0.01
따라서 포탄은 0.01초 만에 포신을 지난다.
이제 이 결과를 우주전함 윤영하에 적용해보자.
윤영하함의 행성파괴용 76km 함포의 포신 길이는 4712km=4712000m이다.
발사속도는 기본형의 분당 100발과 같으므로, 이 포신을 0.01초에 통과한다.
따라서 포탄의 포신내부 평균속도는 속도=거리/시간 에 따라
포신내부 평균속도가 4712000/0.01=471200000m/s 이고 초속도는 0이므로,
포구초속은 2배인 942400000m/s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우주전함 윤영하의 행성파괴용 포탄의 무게를 알아보자.
길이가 증가하면 넓이는 제곱, 부피는 세제곱으로 증가한다.
질량은 부피에 비례하므로 포탄지름 76mm가 76km로 100000배 증가하면
포탄질량은 10^18배 증가한다.
자, 이제 필요한 값은 다 구했다.
최종적인 위력을 알아보자.
Ek(운동에너지)=1/2*m(질량)*v(속도)^2 이므로,
=1/2*10^18m*(942400000)^2
=1/2*10^18*12.34*(9424*10^5)^2
=1/2*10^16*1234*(9424)^2*10^10
=1/2*9424*9424*1234*10^26
=54,796,865,792*10^26
=5,479,686,579,200,000,000,000,000,000,000,000,000 J(쥴)
자, 엄청난 결과가 나왔다.
저거 어떻게 읽는지도 모르겠다. ㅡ.ㅡ;;
이래서는 어느 정도인지 잘 모르겠지?
알기 쉽게 핵폭탄의 폭발력을 나타내는 메가톤으로 환산해보자.
지식인 검색에 따르면, 1메가톤은 4.82*10^12 J 이라고 한다.
결과값을 대입해보면...
약 1,136,864,435,518,672,199,170,124 메가톤이다.
역시 읽을 수 없다.
현존하는 최강의 핵폭탄 짜르봄바가 53메가톤.
우리 태양계의 태양이 144,228,812,862초(약 451년)동안 뿜어낸 에너지총량.
윤영하함은 이런 위력의 포탄을 1분에 최대 100발을 쏠 수 있다.
행성 파괴포가 아니었다. 항성 파괴포, 아니, 항성계 파괴포다.
목성군 따윈 이미 문제도 안 된다.
대 은하 결전병기라고 하겠다...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