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에코 소설을 좀 거꾸로 읽었는데 바우돌리노부터 해서 전날의 섬, 장미의 이름, 그리고 마지막에 푸코의 추를 읽었습니다. 지금은 로아나 여왕의 신비한 불꽃과 프라하 공동묘지를 남겨두고 있는데 이제야 정방향으로 읽을 수 있겠네요...
어쨌든 에코의 소설들은 겉으로 보면 제각기 다른 소재를 이용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한 가지 명확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바로 실존의 문제입니다. 움베르토 에코를 소설로만 접해보신 분들은 잘 모르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에코의 본업은 기호학자입니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유명한(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기도 한)볼로냐 대학의 인문학 교수로도 활동하고 계시죠. 기호학자로서 에코는 인간이 오감을 통해 걸러내는 세계에 대한 도식과, 그 도식을 철저히 분석한 여러 명저들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에코가 몰두해 온 이 기호학 토픽이 그의 소설에도 고스란히 녹아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푸코의 추와 장미의 이름은 공통적인 소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바로 음모론과, 그 음모론을 냉철한 이성과 과학적 방법론을 동원하여 타파한다는 것이져. 이 소설들은 각종 음모론으로 사회가 혼란스러웠던 20세기 말에 출판되어 엄청난 성공을 거뒀습니다. 하지만 에코를 단순히 "음모론 킬러" 로 단정짓는 것은 그의 소설을 단편적으로만 이해한 것입니다.
에코의 소설은 철저히 실존에 대한 문제입니다. 우리가 지식을 동원하여 받아들이는 세계에 대한 도식. 우리의 지각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그 도식은 변질되기 마련입니다. 요컨대, 사유를 통해 상상해낸 개념일 수 있다는 겁니다. 이 개념은 과연 실존할 수 있는가? 애초에 실존이란 무슨 개념인가? 논리의 세계에서 인간은 어떤 방식으로 실존하고, 또 어떻게 자신의 도식을 쌓아가는가...소설가로서의 에코는 이 의문들에 대해 장대한 답변을 쌓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그의 소설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자전적 경향을 보이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죠...
어쨌든 결코 쉽지만은 않았던 에코의 소설들을 읽으면서 제가 유일하게 깨친 것이 하나 있습니다. 우리가 지구와 달 사이의 진공을 채우고 있는 황금 주전자를 상상할 때, 실제 물질우주에 그 주전자가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우리 사유속에 실존하는 주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죠. 역사는 역사가의 도식이 촘촘히 짜여져 만들어진 직물...미터법, 킬로그램 등의 단위 역시 토대가 견고할 뿐인 계량법의 잔상에 불과한 것입니다. 무엇이 우리에게 실존과 비실존을 강요할 수 있단 말입니까?
그리고 실존과 비실존의 경계가 더이상 유의미하지 않다면, 우리는 이퀘스트리아를 이 세계에 강림시킬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사람들은 포니를 괴물이라고 매도하고, 이퀘스트리아는 편협한 어린 아이들의 상상이 수태한 가상의 세계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정말로 그럴까요? 저는 이퀘스트리아 대륙을 지구와 달 사이로 올려보낼 수 있습니다. 이퀘스트리아에 대한 도식만 모든 사람들에게 광범위하게 접목시킬 수 있다면, 이퀘스트리아는 실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