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48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HERAxp
작성일 2011-09-29 09:07:38 KST 조회 710
제목
스2선수가 스1선수보다 못하다는 소리는 개소리
게임 템포도 다를뿐 더러

임재덕 장민철이 스1때 2군급이었다고해서 수준 떨어진다면


박성준 이윤열은 뭐임? 스1 골든마우스도 있는 선수들인데


이영호나 이제동 급한테 딸린다는건 이해되도 무슨 신동원 어윤수 김명운 넘어오면


잘할꺼 같다는건 진짜 개소리 그건 해봐야 아는거 아님?



아까 어떤 분 친구가 코드에스도 별거 아니라고 하셨는데

홍진호를 봐도 알수 있듯이 단기간에 마스터 찍는다고 해서


코드에이니 에스니 거론할 깜냥이 안됨

지금이 오픈시즌도 아니고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LuxuryDrop (2011-09-29 09:09:4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근데 중간에 예를든 박성준 이윤열은....그건 과거의 업적일뿐 스1에서는 저물어 가던 선수들이엿는뎅..
kakarott (2011-09-29 09:09:5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임재덕 게임아이시절 포스 모르는사람들이 하는소리
아이콘 심도 (2011-09-29 09:10:2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골든 마우스라고 해도 그건 그때 이야기고 분명히 저물어 가던 선수들이었죠
아이콘 로부스타 (2011-09-29 09:10:3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윤열 팬이긴 했지만 개인리그는 물론이고 팀리그에서도 잘 못나오지 않았나...
아이콘 HERAxp (2011-09-29 09:14:50 KST)
0↑ ↓0
센스 이미지
슬럼프니까 스2로 온거지 잘나갔으면 거기서 더 빼 먹었겠죠
아이콘 eco100 (2011-09-29 09:16: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종현 같은 현 스1 A급 선수가 두세명 더 넘어오면 판도가 바뀔수도 있겠네요.
아이콘 HERAxp (2011-09-29 09:19:16 KST)
0↑ ↓0
센스 이미지
스1은 신규게이머 유입도 사실 없을뿐더러(아직도 있다면 안습)어짜피 스2로 다 넘어 오게 되있음
아이콘 프리메랑 (2011-09-29 09:23:07 KST)
0↑ ↓0
센스 이미지
저그봉이라고 아마츄어 최강이었음
아이콘 프리메랑 (2011-09-29 09:24:32 KST)
0↑ ↓0
센스 이미지
http://ko.wikipedia.org/wiki/%EC%9E%84%EC%9E%AC%EB%8D%95

개인 경력
2001년 3월 스피드배 우승
2001년 5월 게임아이 주장원전 우승
2001년 6월 게임아이 주장원전 3위
2001년 10월 게임아이 이벤트 저그부분 3위
2002년 1월 게임아이 주장원전 4위
2002년 5월 게임아이 주장원전 우승
2002년 8월 wcg세계대회 국가대표선발전 본선진출
2002년 9월 두루넷 게임 패스티발 우승
2003년 4월 아이벤처 에버배 준우승
2003년 5월 에어워크배 4위
2003년 10월 대구게임패스티발 준우승
2003년 10월 마유이앤션배 준우승
2003년 11월 제주게임패스티발 본선진출
2004년 5월 삼성칸배 준우승
2004년 12월 강남 대치 파리점 사이버파크 준우승
2004년 12월 안산 원곡 파리점 사이버파크 우승
2005년 2월 메가웹 스타매치 우승
2005년 4월 유니넷배 준우승
2005년 5월 키주배틀리그 4회우승
2005년 5월 경향 게임스 전국 대학생 게임 패스티발 스타크래프트 우승
2005년 7월 스니커즈 올스타리그 3위
2005년 7월 이네이쳐배 우승
2005년 9월 용인게임패스티발 스타크래프트 전국대회 우승
2005년 10월 용산 상공회장배 스타크래프트 챔피언십 대회 우승
2009년 4월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3 32강
[편집]코치 경력
2010년 4월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우승
2010년 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우승
[편집]스타크래프트2
2010년 9월 TG삼보-인텔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1 64강
2010년 11월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2 우승
2010년 12월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3 8강
2011년 1월 소니 에릭슨 GSL Jan. Code S 4강
2011년 1월 게인워드배 스타크래프트 II 준우승
2011년 2월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Code S 32강
2011년 3월 LG 시네마 3D GSL 월드 챔피언쉽 서울 16강
2011년 5월 LG 시네마 3D GSL May Code S 우승
2011년 6월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16강
2011년 7월 펩시콜라 GSL July Code S 우승
2011년 8월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Aug. Code S 16강
2011년 9월 소니 에릭슨 GSL Oct. Code S 16강 (진행중)
아이콘 호구호구열매호킴 (2011-09-29 09:41:34 KST)
0↑ ↓0
센스 이미지
이윤열 박성준은 둘다 망해서 나오지도 못하고 있었는데 이건 무슨 글이래 1승조차 거두기 힘든선수가 8강이니 결승이니 간거 자체가 수준차나는게 맞지
아이콘 ShowTimeJung (2011-09-29 09:43: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임재덕은 진짜..아마때 최강이었죠 왠만한 대회는 다 쓸어먹음 근데 팀 들어가면서 팀플전담 선수로 가버리면서 1:1 감각 다 잃어버리고 코치하다가 은퇴..근데 스2하면서 감 살려서 우승한거죠 ㅋ
아이콘 아이언사이드 (2011-09-29 09:43:43 KST)
0↑ ↓0
센스 이미지
호구왔는가
2010년에 스2 오기 전까지는 이윤열도 괜찮았는듯 마재윤도 죽이고 8강도 가고
아이콘 호구호구열매호킴 (2011-09-29 09:46:03 KST)
0↑ ↓0
센스 이미지
마재즈립 자제..
브통령이될꺼랑께 (2011-09-29 10:55:1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1 하는 애들이 스2와보면 알겠죠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