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74 / 1483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광자누님
작성일 2020-01-09 18:38:02 KST 조회 2,878
제목
아르타니스를 잘쓰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저는 아르타니스 41랩이고

 

광전사 용기병으로 시작해서

중후반에 가스많이 보이면

집정관을 추가로 뽑습니다

 

아르타니스를 잘쓰고 싶은데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Corelius (2020-01-09 18:57: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반 아어에서는 잘하고 말고가 딱히 없는 사령관입니다.
Knightmare. (2020-01-09 19:43:38 KST)
0↑ ↓0
센스 이미지
머리비우고 질드라만 뽑아도 이기는 사령관입니다.
qwerfvasdczx (2020-01-09 21:51: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르타니스 집정관은 몇몇 경우 빼고는 안 뽑고 거기 들어갈 가스로 제련소 3개 돌려서 33업 빠르게 갖추고 땡 용기병 하는게 편하더군요. 물론 컨트롤이 되서 집정관 고위기사 안 죽게 잘 관수 잘하고 폭풍 잘 뿌려줄수 있으면 그게 더 좋긴 합니다만 저는 손이 안되서...

그리고 저 같은 경우 용기병에 추가로 섞어준다면 파괴자를 자주 섞어줍니다. 불멸자는 분명 좋은 유닛이긴 하지만 안 그래도 용기병 숫자가 많아지면 버벅 되는데 그게 더 심화되는 느낌이기도 하고, 파괴자가 투사체라는 약간의 단점이 있긴 해도 확실히 딜 하나는 좋거든요. 불멸자 보다 덜 버벅되기도 하고요.

아니면 아예 처음부터 폭풍함 질럿으로 갈때도 있습니다. 협동전이 처음 나왔을 때 부터 주력이었던 빌드죠. 다른 전함류 보다 인구수랑 자원면에서 약간 더 낫기도 하고 차관 버프로 생산시간도 괜찮은편 이인까요. 예전에는 용기병이 지금 만큼 좋지가 않았기 때문에 폭풍함을 카운터 치는 몇몇 빌드를 상대 할때 빼고는 폭풍함을 많이 갔었네요
아이콘 넌이름이모야 (2020-01-09 23:15:28 KST)
0↑ ↓0
센스 이미지
초반 자원 최적화 실력에 따라 그 쉬운 운영 난이도가 더 쉬워짐
병력조합은 뇌 비우고 할 땐 질드라
모든 공세에 다 대응 할 땐 질드라+고위기사(집정관)
그 외엔 개인 취향
보급고스완 (2020-01-10 00:23: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광전사 용기병 잘뽑고 타이밍 맞춰서 보호막 과충전 잘쓰시면 이미 고수입니다
마우스만으로게임 (2020-01-10 01:58: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동맹에게 적용되는 수호보호막이 있는한,
아르타니스는 그저 아르타니스를 선택한 것 만으로도 1인분은 충분히 한 것 입니다.
ozworld000 (2020-01-10 09:21:1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알타 잘하는법이라..
솔직하게 알타 잘하는법은 애매하긴 합니다.

병력구성은 하시는데로 광전사-용기병-고위기사로 가시는게 가장 무난합니다.
- 보통 고위기사, 리버, 폭풍함 3체제중 공세보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 저그: 고위기사 , 프로토스: 폭풍함 , 테란: 지상메카닉-폭풍함 , 나머지-고위기사
- 리버는 공세보다는 임무보시고 선택(열차 또는 건물 파괴력 필요하실때)
- 그냥 일반론일뿐.. 뭘하셔도 용기병/광전사만 유지하시면 되긴해요 ㅋ

그냥 몇가지 운영상 조언이라면

1. 스킬을 아끼지마라(특히 초반)
- 알타는 초반 병력을 살리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 초반 진출때 보호막과충전과 괘도폭격을 최대한 이용하세요.
(초반 광전사 소용돌이가 없을때 괘도폭격으로 광역기를 대신하셔야 합니다.)

2. 병력 - 테크 - 공방업 순으로 자원을 분배
- 가장 중요한게 병력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초반 병력털리면 힘들어집니다.
- 그다음이 테크 적 공세를 파악하셧다면 빠르게 대응테크를 마련하세요.
- 마지막이 공방업입니다.

2-1 공방업에 대해
- 기본병력인 용기병과 파괴자가 공방업 효율이 좋은편인건 맞습니다.
- 광역기가 부실한 아르타니스에게 빠른 광역딜러 보유는 필수입니다. 광전사로만 광역을 때우시면 나중에 광물이 모자릅니다.
- 폭풍함은 공업효율이 별로고요.
- 1줄정도의 용기병에 테크트리 그리고 생산체제(3~4게이트 + 1공학)은 필수라고 봅니다.
- 나중에 3연결체 지어서 공/방/실 하셔도 충분히 따라갑니다.

3.관측선은 무조건 퍼트리세요.
- 1~2기 제외하고는 무조건 관측선을 넓게 퍼트리세요(고정모드)
- 느린 알타병력에게 시아확보로 전장을 파악하는건 필수입니다.
- 아군에게도 최고의 플레이고요.

4. 기타
- 불멸자는 3~4기는 대리고 다니세요.용기병이 좋아저서 용기병으로 충분하지만, 지상혼종 잡는건 불멸자가 최고입니다.
- 돌변:처치로봇에는 알타하지마세요.. 몇 사령관(스투코프/자가라 정도)빼곤 오히려 민폐입니다.(흑사병이 오히려 할만합니다)


이정도인거 같네요.
antimonide (2020-01-10 11:00: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윗분들이 대부분 말씀하셨는데 더 코멘트할 게 있다면

1. 시작하면 제일 먼저 짓는 건물은 수정탑이 아니라 관문(유명해서 이미 아실수도 있습니다)
어차피 인구수는 200이니 동력장 깔고 관문 지으면 테크 속도도 빠르고 광물도 아낍니다. 인공제어소까지 짓고 그다음에 수정탑 지어도 전혀 늦지 않습니다.

2. 용기병 체제에서 고위기사는 준필수급 유닛
용기병은 적은 수의 피통돼지 패는데는 좋지만 그놈의 투사체 문제 때문에 다수의 유닛(저글링 등)에는 약합니다. 유닛들이 잘 뭉쳐오는 저그 상대로는 사실상 필수고, 플토나 테란 상대로도 스카이 공세면 시원하게 지워버릴 수 있습니다. 궤폭은 5발밖에 안되고 태양포격은 개나소나 쓸 수는 없으니 스톰이 있는게 편합니다. 일단 저는 공세 무관하게 무조건 뽑는 유닛입니다. 관련업글 다 마치면 스톰 중첩해서 들어가는거 아시죠?
(뭘 해도 깨는 일반아어에서 필수라는 말은 매우 유용하다는 말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3. 고테크 유닛(불멸자, 파괴자, 폭풍함)
- 불멸자 : 적이 지상 중장갑이면 아무리 용기병이 상향됐어도 불멸자가 우위입니다. 특히 그놈의 망할 투사체 문제 때문에 지상 중장갑 상대면 불멸자 5기 이상 뽑는게 땡기병보다 훨씬 낫습니다. 충돌크기 대비 화력이, 그러니까 화력밀집도가 절륜하다는 점도 큽니다.
- 파괴자 : 지상 공세면 2~3기 정도 고려해볼 만 합니다. 더 많이 뽑기에는 가스 압박도 있지만 갑충탄의 느린 투사체 문제 때문에 딜 낭비가 심합니다.
- 폭풍함 : 고테크 유닛 중 유일하게 대공이 되니 맷집이 좀 되는 적 유닛(약한놈들은 고위기사 스톰 선에서 정리되었을 테니)을 저격하는 용도로 좋습니다. 지상 상대로도 좋구요. 물론 용기병이랑 역할이 겹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폭풍함은 사거리 긴 '공중'유닛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큽니다. 병력 규모가 커진 중후반에 우공 하나만 짓고, 어차피 더 뽑아봤자 뒤에서 버벅이기만 할 용기병보다 폭풍함을 뽑는게 더 편하고 효과적입니다. 강제무빙컨도 한계가 있죠.
저는 고테크 유닛 3종을 전부 뽑진 않고, 상황에 따라 2개 정도 선택합니다.

4. 기타
- 당연하지만 업글은 공쉴업부터 하고 방업은 정말 돈과 시간, 그리고 컨트롤 여유가 남아돌면 합니다.
- 저는 광전사 소용돌이 업은 하지만 발업은 거의 안합니다. 광전사만 먼저 달려가서 본대랑 멀리 떨어지면 뒤에서 딜 넣는게 힘들어서요. 광전사는 적진 밀 때 말고는 어그로 용으로 소수만 뽑아두거나 안뽑고 적 머리위 동력장 깔고 투하하는 정도로만 씁니다.
- 동력장이라는 패널이 있지만 저는 수정탑을 맵의 중요 거점에 몇 개 짓는 편입니다. 동력장 쿨 때문에 너무 답답한 상황이 가끔 벌어지거든요.
- 알타의 경우 래피드파이어는 보통 Z(광전사 소환), T(스톰), F(환류)를 씁니다.
아이콘 고철노예 (2020-01-10 14:11:5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1. 용기병을 중심으로 사용할 경우 공방실업은 가급적 3제련소를 돌리며 모두 하는 것을 추천
용기병은 전투 중에도 보호막이 재생되는 연구가 있는데 보호막이 낮은 상태에서 생명력이 까이는 상황이 될때 방어력과 보호막 방어력을 모두 받아서 피해가 경감되는 것이 상당히 큽니다. 따라서 용기병 주력이면 3/3/3업을 해주는게 좋습니다. 어짜피 광전사를 적절히 던져주거나 궤도 폭격을 사용해서 잡몹처리를 해준다면 고위기사 없이도 대부분의 상황을 넘길 수 있습니다.

2. 상황에 따른 적절한 패널 사용
이건 아르타니스에 대한 이해도뿐만 아니라 수행하는 임무에 대한 이해도도 동시에 요구됩니다. 임무마다 빡센 공세가 온다거나 병력만으로 돌파하기 난해한 구역이 존재하는데 그 구간을 보호막 과충전과 태양 포격으로 쉽게 넘기는 거죠. 특히 태양 포격은 쿨타임을 지나치게 낭비하지 않으면서(=가진채로 너무 오래 아끼지 않으면서) 적재적소에 꽂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3. 폭풍함은 특정 상황을 제외하면 비추
지상 사거리는 용기병보다 2 길지만 공중 사거리는 2 낮고 용기병보다 생산요구 가스는 4배나 되는데 화력은 영 애매한 유닛입니다. 지형이 공중 유닛 사용에 최적화되어 짤짤이를 하기 좋은게 아닌이상 왠만하면 용기병 쓰는게 낫습니다. 협동전 자체가 수급하는 가스에 제한이 있다보니 지상과 공중 연구가 나뉘어 있다면 둘 모두를 운영하기보다 한쪽에 집중하는 것이 편하다는 점도 있어요.
사이이이이 (2020-01-12 03:14:0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옛날에 아르타니스만 했던 적이 있습니다.

아르타니스로 클리어 속도를 높일려고, 이것저것 많은 테크를 시도했습니다.

제 경험상..

드라군 + 질럿보다 더 쉽고 빠른 것은 없다고 믿습니다.


아르타니스는 매우 강력한 기본 유닛을 보유한 사령관이죠.

리버나 집정관에 들어가는 자원으로, 적 군대에 따라 드라군 OR 질럿 수를 늘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믿습니다.
NewBlueRider (2020-01-12 10:22: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질드라는 뭐 거의 다 얘기하셨으니
고위기사/불멸자/파괴자/폭풍함만 얘기를 넣자면

고위기사는 전용업글 몇개 하면
스톰이 아군 실드회복+중첩이 되어서 저글링 같은 개떼조합을 지지고 질드라의 탱킹을 강화해주는 효과를 가집니다.

멸자는 풀업 시 400~500에 달하는 깡피통에 패널 보호막 과부하나 수호보호막까지 생각했을 때 가격대비 탱킹효율은 이만한 유닛 찾기 힘듭니다.
+높은 중장갑 추뎀을 인트턴트로 박기 때문에 중장갑 학살 및 건물파괴도 잘하고요.

파괴자는 깡딜만 100을 스플로 박는 괴물이긴 한데, 전작과 같이 탄환수 제약이 있어서 피통높은 대상(뫼비우스 혼종, 열차 등)에는 약간 지속력이 멸자에 비해 떨어지는 점도 있어서 건물파괴보단 단단하고 화력이 강한 메카닉/로공조합을 빠르게 부수는 데에 초점이 맞춰진 유닛입니다.
사거리도 길어서 후방에 안정적으로 있는 건 덤

폭풍함은 지상사거리10 공중사거리6으로 지상사거리가 긴데다가 공중유닛이라 쌓였을 때의 밀집화력은 매우 강합니다.
밀리에선 거대추뎀이지만 협전은 추뎀없이 기본 깡딜이 쎈 유닛이라 이곳저곳 써먹기 좋고요.
대공에도 용기병 섞으면서 써주면 매우 강한 모습을 보입니다.
신관님약해요 (2020-01-12 23:06:1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윗분들이 다들 말해주셔서 따로 말씀드릴게 없네요ㅎㅎ
간추리자면 초반 병력을 최대한 살리면서 확장을 가져가고 빠르게 3/3/3업을 완성하며 질드라 베이스의 병력+적 공세에 맞는 고테크유닛 추가.
추가로 드리는 저만의 팁은 적진 돌입 시 어택땅을 찍되 드라군부대는 반드시 부대지정 후 앞무빙을 해주시며 돌입해주시길 추천합니다. 이러면 뒤에서 노는 유닛이 줄어들어 화력을 더 잘 투사할 수 있습니다.
아이콘 전쟁인도자 (2020-01-15 20:43:26 KST)
0↑ ↓0
센스 이미지
예전부터 말하는거지만, 아르타니스는 안전하게, 우직하게 플레이하는 사령관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르게 얘기하면 숙련도에 따른 난이도를 크게 안탄다라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되네요.
SSStylish (2020-01-17 17:43:5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집정관 필요없고 질럿 드라군만 해도 충분히 쎄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