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4 / 2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황탁구
작성일 2011-02-22 11:12:59 KST 조회 3,403
제목
영어 ID의 득과 실

한글로 표기 되던 아이디가 이젠 영어로 아이디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우선적으로는 저도 개인적으로 환영입니다.


GSL이 글로벌을 표방하는 만큼 이번 영어 아이디는 글로벌이라는 말과 부합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로써 해외 유저들이 GSL을 관람하는데 더욱 친밀감을 느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한글아이디는 영어로 옮기는 매우 난해했을 뿐더러
해외 유저들이 한글 아이디를 외우기가 힘들었을 겁니다.
 
더군다나 한글+영어 혹을 영어+한글이 불가능해 짐에 따라
외래어를 한글로 표시해서 읽기 난해했던 아이디들도 다소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필자는 처음에 티에스엘얼라이브를 어디서 끊어 읽어야 할지 몰랐습니다.)
 

 

<<<이 글에 거론된 선수 아이디를 비방하는 목적은 없습니다.

단지 예를 들었을 뿐입니다.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영문 ID로 얻는 건 무엇인가?

 

첫 째, 이제 해외 유저들이 한국 선수들의 아이디를 외우기가 더욱 쉬워 졌다는 겁니다.
실제 프로게이머들이 레더연습용 아이디와 한글아이디와 영문 아이디까지 3개를 보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변현우 선수를 보면, Excrement라는 아이디를 사용하지만 방송에선 제넥스변으로 나왔습니다.
해외 유저가 이를 본다는 Excrement=제넥스변=변현우 라고 생각하기 쉽지 않죠.
 
박성준 선수 또한 레더 연습용 아이디 스타테일 안심이, 대회 아이디 스타테일쥴라이 입니다.
안심이=July=박성준(?) 이 역시 시청자에겐 혼란을 줄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예 영문 ID로 통일함으로 이런 혼란은 줄어들거라고 생각합니다.

 

둘 째, 해외 해설자들도 해설하기가 더욱 쉬워졌습니다.

SlayersBoxeR나  FruitDealer같은 경우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나
신예 선수 아이디가 한글인 경우 뭐라 불러야 할지 난감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제는 영문 ID가 있기 때문에 더욱 쉽게 신예선수를 부를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영어 ID가 되면서 잃는 것은 무엇인가?
 
첫 째는 아쉽지만 다름 아닌 한글 그 자체입니다.

와우의 한글화가 한국유저들에게 안정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스2도 한글화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과학적인 한글이 블리자드 게임내에서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

상당히 매력적이고 애국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처음 접하는 유저들에겐 오히려 어려운 영어가 아닌 한글이 친근함을 더 불러 일으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둘 째는 아름다운 한글화가 ID에서는 사라진다는 점입니다.

 

여담이지만 스2 유닛들을 한글로 명명했는데 정말 너무 잘 지었다고 생각합니다.
Marauder를 불곰이라고 명명했는데 불곰이라는 어감에서 느껴지는 무시무시함을

정말 잘 표현했다고 생각합니다. 흰곰 혹은 반달곰이라고 명명했다면 지금의 불곰의 포스를 잘 표현했을까요?

 

실제로 자폭하면서 상대에게 독을 뒤집어 씌우는 Baneling 또한 맹독충이라는 이름이 너무 잘 어울립니다. (그냥 독도 아니고 맹독입니다. Baneling은 사전에도 없는 단어입니다.)
맹독충의 이동속도 업그레이드를 '원심고리 진화'라고 명명한 건 구르면서 이동하는 맹동충의 모습까지 생생하게 표현했다고 생각합니다.


Roach 또한 바퀴라는 이름이 정말 잘 어울립니다.  많은 물량과 재생력은 정말 바퀴벌레와 흡사합니다.

 

블리자드가 단순히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 한 것이 아니라 그 유닛에게 어울리는 이름을 부여했습니다.
이런 면에서 보면 블리자드는 단순히 게임을 만드는 곳이 아니라 거기에 예술성까지 부여하는 것 같습니다.

 

이토록 멋지게 한글화 시켰는데, ID에서 만큼은 한글이 많이 사라지게 될 겁니다.

 

셋 째는 한글 아이디를 통한 화제가 다소 사라질 겁니다.
한글아이디가 선수를 대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정훈 선수를 봅시다, 처음 그가 한 때 "boxer"란 아이디로 등장했을 때,

마린컨으로 유명해진 임요환 선수 처럼 해병을 자유 자제로 운영했습니다.
이후 해병왕으로 바꾼 이정훈은 본인 아이디 답게 해병을 적극적으로 쓰면서 아이디와 본인을 일치시켰습니다.
 
과일장수의 경우 아이디처럼 그는 이기면 과일 세레모니를 선보였고,

그의 팬들은 경기장에 과일을 가져오기까지 했습니다.
단순히 사과 하나를 손에 쥐고 경기장에 와도 그가 과일장수의 팬이라는 걸 알 수 있기도 했습니다.

 

이번 GSTL을 통해 시청자의 이목을 끌었던 꼬부기 박현우 같은 경우엔 꼬부기 - 어니부기 (중간생략) - 거북왕으로 바로 진화해야 한다고 유저들이 말 할 정도로
꼬부기라는 한글아이디는 보는 사람의 재미를 더했습니다. 

이젠 아이디를 통한 애드리브는 나오기가 힘듭니다.

 


앞으로 프로게이머는 자신의 ID를 정할 때 좀 더 신중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최고의 아이디로는 과일장수를 뽑고 싶습니다.
아이디가 외우기 쉽고 친근하고 과일장수는 어느 지역 어느 나라에나 있기 때문이죠.
정말 글로벌 하지 않습니까?

 

가장 난해한 아이디는 김동현 선수 티에스엘예쁜이 입니다.
"......." 
그냥 난감하죠.....

 

지금은 이미 한 번 하면 아이디 개명을 못하지만 추후 개명기회가 있으면

연습용or래더 아이디와  대회 아이디를 통일 하는게 보는 시청자에게 혼란을 줄여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선수가 한번 특정 아이디로 시청자에게 각인 되면 바꾸기 좀처럼 쉽지 않습니다.

실제로 연예인 중에서도 '미인도'의 '김민선'이 '김규리'로 개명했다곤 하지만 김민선을 김규리로 불리기 까진 많은 시간이 생길 거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빠르게 영어 ID에 대한 입장을 밝힌 스2 협의회에 대해서도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스2의 특성 답게 빠른 회전력(?)으로 다음날 바로 영문 ID에 대한 이유와 입장을 밝힘으로서 시청자들의

혼란을 줄여주었습니다.

 

영어 ID에 대한 의견을 어느 한 외국분이 적어주셨는데 그 댓글을 마지막으로 이 글을 마치려고 합니다.

 

Hello,

I am sorry, but I do not know any Korean.

Many people love GSL and Starcraft 2 around the world. I want to explain why requiring English IDs is so useful for foreign fans.

When we have a hangul ID, it is hard to translate it into an English ID. 99% of foreigners cannot read Hangul. When we see 과일장수, we can translate it in many different ways.

FruitDealer? FruitSeller? Gwailjangsoo? TSL.Fruitdealer? It is very confusing. For many Code B players we do not even know what to call them at all.

Now that there is a list of official English IDs, we can follow all of the Starcraft 2 progamers more easily. It helps eliminate confusion on our forums.

Once again, I am sorry for not knowing any Korean.

 

"안녕하세요

안타값지만 저는 한국말을 못합니다.

전세계 많은사람들이 GSL과 스타2를 좋아합니다.
제가 영어ID가 외국인들에게 얼마나 도움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ID가 한국말일경우 영어로 바꾸는것이 매우 힘듬니다. 99%의 외국인들은 한글을 못 읽읍니다. 우리가 과일자수를 볼때 많은 해석이 나옵니다. FruitDealer? FruitSeller? Gwailijangsoo?

TSL.Fruitdealer? 엄청 했갈려요. 많은 코드 B 선수들은 알지도 모르기 때문에 더욱 더 힘들고 어떻게 불어야한지 모릅니다.

이제 ID영문화가되서 외국인들이 스타2 선수들을 GSL에서 더 쉽게 따라다닐수있습니다. 헷갈림을 없애는거죠.

다시한번 한국말을 몰라 죄송합니다."

(출저 - http://www.playxp.com/sc2/news/view.php?article_id=2628446)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아이콘 AUTOEXEC.BAT (2011-02-22 11:23:11 KST)
0↑ ↓0
센스 이미지
진심으로 다시 권하건데 한국어 아이디는 한국어로 표기해야 합니다. 글로벌이니까 영어로 하자는 말은 진짜 단순한 사고에 불과 합니다.
우리가 보는 방송은 한국어 방송이지 영어 방송이 아닙니다. 글로벌 방송은 곰티비닷넷을 통해 따로 방송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방송에 노출되는 한국어 아이디는 자막을 통해 충분히 알릴 수 있으며 여태까지 그리 해왔습니다. 문제는 선수들과 협의되지 않거나 임의로 한국아이디를 영어로 편의에 맞게 해석하여 올렸던 관행과 관습이 문제입니다. 그래서 fruiltdealer 인지 fruitseller인지 혼선을 빚은것이지요. 이런 부분은 선수들과 의견을 조율해 한국어 아이디와 영어아이디를 같이 정하고 그에 맞게 정확히 표기해서 쓰면 되는겁니다.

우리나라 방송에 글로벌을 표방한다며 적혀있는 자막이 온통 영어입니다. GSL January? GSL March? 2nd intel core ??? 그러면서 뒷배경은 intel과 인텔을 동시에 적어놨습디다. 웃기는거죠. 그렇다면 뭐하러 한글 클라를 사용합니까? 글로벌에 맞게 영문 클라 사용하고 불곰을 marauder로 표기하고 방송하시죠? 엔진소리 죽이는데 ~ engine screaming으로 방송하란 말입니다.

제가 보기에 이번 사태는 Gomtv가 방송상 자막을 따로 글로벌용으로 준비하기 귀찮아서 한마디로 탁상행정으로 빚은 문제로 보이고요. 글로벌 방송인 GOMTV.NET방송에 글로벌 자막을 따로 만들기 귀찮다면 방송 때려 치시죠.
아이콘 아톰_Z (2011-02-22 11:51:15 KST)
0↑ ↓0
센스 이미지
이 규정반대하는 사람들이. 한글 자부심 이런것 때문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한글아이디를 금지하게 하는 규정이기 때문이라 반대하는 것임 ;;
말로는 한글아이디 금지가 아니라 ???문제를 해결과 해외팬들에 대한 배려라고 하지만

해외팬들 배려는 굳이 아이디 바꿀 필요없고. 한글아이디 쓰길 원하는 선수들은
해외 송출용 아이디로 영문표기된 아이디를 하나더 만들면 되는데

지금 현재 규정은 실질적으로 배넷상에서도 한글아이디의 실종사태를 불러올 것.

영문표기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해외팬들에 대한 배려는 다른 방법도 많은데
간접적인 한글아이디 금지시키는 규정이 꼭 필요한지 의문.

아마. 시간이 흐르면
과일장수, 사필없, 꼬부기, 유희왕 등 재미있는 아이디는 점점 잊혀져가고.
결국 스1처럼 선수이름으로 식별하는 경향이 더욱 강해질 것임.
물론 국내시청자들도 익숙해지겠지만. 그런 면에서의 재미는 분명 감소됨
Thrasha (2011-02-22 12:01: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음... 선수들의 경기용 닉네임만 영어로 하게 규정하면 되지 않을까요?
이 글을 보니까 닉네임을 영어로 하는 이유 중 가장 큰 게 GSL에 참가하는 선수들 때문인 것 같은데,
GSL 때문에 모든 유저가 닉네임을 바꿔야 한다는 건 좀 무리수라고 생각되기에...
Eo_Jin (2011-02-22 12:01:2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진짜 진심으로 한글아이디 되돌려놔랏! 한글은 우리나라만의 독특함을 가진것이고 독특함이 없음은 재미없고 지루하다.
어떤 게임이던지 처음은 어렵고 난해하고 복잡해서 잘 하기 어렵다. 하지만 그런것을 넘어서는 순간 신세계가 도래하지. 한글의 독특함과 장점을 진입장벽이라고 무시해버린다면 스2도 아주 쉽게 만들어버려라. 해병 산개 스킬이나 자동 에벌래 펌핑이나.... 한글이 어렵다고 스2방송을 안보는게 아니라 스2방송이 좋기 때문에 외국인들에게 한글은 스2방송의 또다른 호기심 거리다.
아이콘 다오 (2011-02-22 12:09: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님의 아이디는 영어자나여????

재미없고 지루한 아이디를 쓰셨자나여????
Eo_Jin (2011-02-22 12:16: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 다오
헐킈! 전혀 논점을 파악하지 않으시고 딴소리 하시는거군요.
애써 변명해드리자면 '어진'의 영문 표기입니다 'Eo' 는 '어'바름의 한글 외국어 표기 규정에 맞는 표기구요. 'Jin'도 마찬가지고요
어진의 뜻도 말씀드려야 하나..?
Eo_Jin (2011-02-22 12:17:4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덧붙여서. 제가 영어로 'love'라고 하더라도 관계 없습니다. 한글로 아이디 정하지 말라고 강제한경우가 아니니까요.
아이콘 다오 (2011-02-22 12:20:2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참... 어쨌든 알파벳이자나여^^
아이콘 지니욥 (2011-02-22 12:21:43 KST)
0↑ ↓0
센스 이미지
AUTOEXEC.BAT // 현재 외국으로 나가는 방송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해설하는 것을 그대로 보는게 아니죠. 또한, 영문판 스2로 옵 하면서 영어 방송 하기 때문에 자막이고 뭐고 대부분 다 그쪽에서 맞춰 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님이 하시는 말씀은 이유가 아니지요.
문제는 한글 아이디로 하면 영어권 국가를 위해 하고 있는 해설진이 사용하는 옵저버 화면에서 영문이 아닌 한글이 사용된 경우 ?????이 뜨기 때문에 해설하면서 선수 확인에 문제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영문 아이디 역시 과일장수->fruiltdealer 의 형식으로 의미에 맞춰 영문으로 바꾸라는게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원한다면 과일장수는 guailjangsu 로 바꿔도 되겠지만, 이미 해외에서는 fruiltdealer 라는 아이디로 유명한 상태이니 그대로 한 것이겠지요.
아이콘 AUTOEXEC.BAT (2011-02-22 12:29:35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위에 적은 GOMTV.net 이 글로벌 영어 방송을 지칭한다는 것을 모르시나 보군요
아이콘 AUTOEXEC.BAT (2011-02-22 12:32:13 KST)
0↑ ↓0
센스 이미지
fruitdealer라는 아이디로 유명한게 아니라 과일장수를 번역하다 보니 처음엔 중국에선 수과장군(과일장군)이라는 의미로 번역되어 나간적도 있고, 영어권 방송에서 fruitseller로 나간적도 있고.. 결국 번역상 fruitdealer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gsl에서 fruitdealer로 나가게 된 것입니다. fruitdealer가 유명해서 그런게 아니에요
아이콘 [허경영] (2011-02-22 12:35:30 KST)
0↑ ↓0
센스 이미지
어지간하면 넘어가려고 했는데 회외가 아니라 해외입니다.
한글 아이디가 입에 감기던데 아쉽네요.
아이콘 AUTOEXEC.BAT (2011-02-22 12:38:28 KST)
0↑ ↓0
센스 이미지
아톰_Z님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영문표기에 반대하는것이 아니라 한글이 배제되어 버린것에 반대하는 것입니다.
임요환 선수가 스2에서 그냥 그대로 영어로 쓰면 될것을 궂이 한글로 '슬레이어스박서' 라고 바꾼것을 보고 여러가지 생각이 든 것은 저 혼자뿐입니까?
엘리멘탈엄지원 (2011-02-22 12:41: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ㅜㅜ 전 GSL을 잘 챙겨볼 수가 없는 입장인데 어제 코드A보니깐

누가 누군지 모르겠더라구요 ㅜㅜ...................................

소리없이 봐서 그랬나.....................저만 그랬나요? ㅜㅜ
조랭 (2011-02-22 12:42:1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AUTO~~// 그 아이디 한글화 바람의 중심에 누가 있을까 항상 궁금했는데 임 선수였나요?
그 분이 아무런 생각 없이 영어로 쓰던거 한글이 편하다고 바꾸실 분이 아니죠.
아마 프로게이머분들도 지금 저희와 같은 아쉬움을 갖고 계신 분이 많을 것 같네요.
조랭 (2011-02-22 12:45:3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번 문제의 발단은 선수들이 한글 아이디와 독특한 한글 별명들을 갖게 된다는 거 자체가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을 해외에 전하는 '전달의 문제'죠.

아이디의 영문화라는 방안은 엄청나게 편리하겠죠. 하지만 엄청나게 근시안적입니다.
아이콘 [오늘의유머] (2011-02-22 12:48:20 KST)
0↑ ↓0
센스 이미지
이 글 읽으면서 이런생각이 강하게 드네요. [ 우리것이 좋은 것이여~]
조랭 (2011-02-22 12:59:1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윗분 말에 덧. '글로벌이니까 해외팬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라며 반박하시는 분들 많습니다.
그러나 이 글이나 댓글다시는 분들이나 해외팬을 고려하지 말자고 주장하는 게 전혀 아니에요.
글로벌이니까 해외팬을 우선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그것 자체도 문제구요.
글로벌 리그이기 때문에 한국팬과 해외팬을 함께 고려하는 게 맞는 겁니다.
더욱이, 이 경우엔 무조건 하나를 선택하고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문제가 아니라 분명 시청자 입장에서의 생각만으로도 그렇게까지 대안이 없을 것 같은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논란이 불거지는 거죠.

영문화는 분명 앞으로 더 생길 수 있는 재미의 요소를 하나 없애고 가는 길일 겁니다.
아이콘 동굴아저씨- (2011-02-22 13:00: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에. 한글명 외에 영문명을 설정할 수 있도록 패치를 요구하면 될것아닙니까?
어차피 이건 단순히 외국 시청자가 한플레이어에 매칭되는 하나의 고유네임을 알기 위함 아닙니까?
영문전용 사용은 명백히 국내팬에게는 마이너스인데(스1 선수 아이디 기억하나요? 선수이름기억하나요? 선수이름이 재밌나요?)
게임안에서 한국팬의 재미를 위해 100%한글화한 블리자드인데 곰티비주관 GSL은 해외유저를 위해 국내팬의 재미를 감소시키나요? 블리자드에 정식 건의 해봤나요?
이건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 양쪽다 얻어야 하는 사안입니다. 블리자드 패치가. 우선방책이고, 선수아이디 전원 영문화는 진차 근시안적 대안입니다.
노래 곡명만해도, 한글명 영문명 나누어서 배포합니다. 아이디는 왜 못그런가요?
한글명 외 영문명 설정가능하도록 패치한 이후
옵져버 모드에서, 영문명으로 보기 기능정도만 있으면 다 해결될 것을요???
아이콘 -산타- (2011-02-22 13:08:2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곰티비도 글로벌 기준에 맞게
베어티비로 바꿔야한다고 주장합니다.
저그입니다 (2011-02-22 14:59:0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느 외국인의 영문이 왠지.....친숙 합니다;;;한국에서 쭉 살던 영어 공부 좀 한 애가 적은듯한 문법이라는 생각이...머리속에서 떠나질 않네요
저그입니다 (2011-02-22 14:59: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니..이건 진짜 보고 또봐도 한국인의 영문법 느낌이 너무 남
저그입니다 (2011-02-22 15:00: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또 한국인 확실한듯
저그입니다 (2011-02-22 15:00:3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또 자세히 들여다 보니 경주나 청주 쪽 사시는 분이 영어로 적으신게 확실한듯
저그입니다 (2011-02-22 15:02: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사람은 청주 우암동 세원아파트 2동에 사시는분이심
아이콘 부산 (2011-02-22 17:56: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Roach는 그자체가 바퀴라는뜻이라서 바퀴로 한거아님?
아이콘 천제누구 (2011-02-22 19:32:45 KST)
0↑ ↓0
센스 이미지
아까 다른 포럼글에도 썻는데 여기도 올립니다.... 0.0

외국 사람들은 우리나라의 시를 잘 이해 못한다고 학교에서 배웠던 기억이 나는군요
우리나라의 가시리 가시리 잇고 라는 구절을 번역을 하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란 식으로 선생님이 예시를 들으셨었는데
이번 사건에서도 그런것과 비슷한 생각이 듭니다
몰론 모두 다 영어로 되면서 좀더 글로벌해졌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한국사람이 볼 때 우리말만의 표현할 수 있었던 아이디같은거
안심이, 사필없 같은 우리나라말로만 표현할 수 있고 다른 정감을 느낄 수 있었던
아이디가 나올 수 없어졌다는게 그렇게 좋게 보이진 않았습니다..... 0.0
아이콘 늑대와춤을. (2011-02-22 22:06:06 KST)
0↑ ↓0
센스 이미지
대외적인 영문아이디의 통일은 환영.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