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UseMaster[0_0y] | ||
---|---|---|---|
작성일 | 2010-08-10 22:44:00 KST | 조회 | 1,066 |
제목 |
신전 부수기 - 간단한 리뷰와 전략전술.
|
스크린샷과 함꼐 대략적인 게임을 봅시다.
로딩중
간단하게 알아둘만한 내용과 패치내역이 있군요.
선택 화면입니다.
지게로봇으로 종족을 선택합니다.
저그
테란 토스 입니다.
선택하기전에 유닛배치나 좀 볼까요?
저그 배치
땅굴벌레. 저그유닛들이 기동력이 그렇게 딸리는것도 아니긴합니다만, 히드라나 감염충등 가다 죽으면 안되는 유닛등도 있으니 쓸 가치가 있긴합니다.
저그의 추가 업그레이드는 아드레날린업그레이드와 버로우입니다. 버로우는 보통 바퀴와 맹독충을 위해 존재하고, 아드레날린은 저글링을 테러왕으로 만드는 기적의 업그레이드죠. 밀리보다 쓸만한듯
테란 배치
유닛은 별거 없고 테란은 희대의 사기 능력인 스캐너탐색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걸로 상대가 뭐뽑나 보고 맞춰가는거죠. 에헤이 .
테란의 특수능력은 마린의 체력업[전경방패]외 핵미사일이 있습니다. 그런데 핵미사일만 올인하다 업그레이드못해 말라죽는 테란 많으니 초기에 쓰지맙시다.
토스 배치
잉선. 상대를 당황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테란이 없을떄 잠시동안 아군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지만, 테란이 있으면 스캐너탐색한방에 자원을 2/40날리는 효과가..
토스의 특수능력은 점멸밖에 없군요. ;ㅅ;
테란을 선택하면 홀업이 가능합니다. 다만 기본적으로 주는 가스 30을 이용하는 전략도 있긴합니다만 추후에 다루도록 하고.
궤도사령부는 마나 150을 풀로모을시 4연벙까지 가능한 위대한 건물이며
행성요새의 데미지는 20이지만 정말 끈질긴 수비능력을 보여주는 건물입니다.
센터 벙커링. 저 경험치 잡으면 레벨업을 하는데 레벨업을 하면
(너무 당연한소리긴하지만, 적군 유닛, 건물들을 잡아도 레벨업합니다.)
맨 오른쪽 보드판에 숫자가 1올라가고 [1->2]
지게로봇으로
모든유닛이 전멸했을때 얻는 미네랄을 1추가 확보하거나
항상 확보되는 가스의 재생능력을 1, 최대 20까지 보존할 수 있게됩니다.
기초적인 내용은 이것으로 하고 전략/전술에 대해 애기해보죠.
1.우선 업~~와 물량~~중 하나를 선택해봅시다.
업테란이라 불리는 스타1의 희대의 토스 사망 빌드가 있죠. 메카닉의 업그레이드를 3/3을 시키고 나가서 캐리어든 지상군이든 뭐든 무력화 시키는 희대의 사기빌드라 까이는 빌드인데, 이는 메카닉이 업그레이드의 혜택을 심각하게 받는 유닛이기에 가능합니다. 하지만 다른유닛도 업하면 좋죠 당연히. 그래서 시작된빌드인데
레벨2,3,4,5->전부 가스로 보내면 가스 80이 확보되서 특수능력 업그레이드와 공방업 1단계[75소모]가 가능합니다. 업그레이드로 상대방보다 숫자가 적지만, 그만큼 경험치를 덜주기때문에 이득 보는 싸움이 가능합니다.
6,7레벨에서는 미네랄 2개정도 넣어 미네랄량도 확보하고, 업그레이드와 양질로 싸우는 겁니다.
굉장히 좋아보이죠? 개인은 좋습니다. 근데 팀에서 2명이상이 업그레이드체제를 하면 물량이 밀려서 레벨이 확 뒤져버립니다. 한명만하세요 한명만.
물량. 기본적인 가스를 1~2개만 넣고 미네랄을 많이 넣어서 기본유닛과 물량위주로 싸우는 겁니다. 저그에게 매우 유용하며, 가스를 4정도만넣고 대량으로 저글링테러를 굴려도 괜찮습니다. 이쪽은 잘 안해봐서..
2.초반 선택간의 상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저글링 - 마린 - 질럿 서로 컨하기에 따라 다르지만, 의료선달린 마린은 저글링,질럿으론 힘듭니다.
추적자 - 마린,질럿에게 강하지만 추적자, 저글링에 탈탈.
불곰 - 추적자,마린에게 강하지만 저글링,질럿에게 그다지 막강하진 않습니다.
바퀴 - 질럿,추적자,마린을 농락하기 좋지만 스팀불곰에겐 데꿀멍.
2뮤탈 - 2불사조에게 문자그대로 압살당하지만 뮤탈컨에 따라 득점하기 좋은 선택입니다.
1울트라 1저글링 - 약간 변태같지만 쓸만합니다. 다만 유닛이 속절없이 녹을경우 정말 암울해집니다. 꽤 하드코어. 울트라 경험치량이 엄청나거든요.
2탱크 - 센터장악하기 좋지만, 불사조 뮤탈이나 드랍류에 걸릴경우 눈물만 쭉빼게 하는 조합. 하지만 탱크자체가 살려두면 이리저리굴리기도 좋고, 수비도 좋아서 점수따기 매우 좋습니다.
1질럿 1불멸자 - 불곰잡이과 바퀴 추적자 잡이용 빌드 울트라도 불멸자가 저글링에 쌓이지만 않으면 꽤 잘잡습니다.
2불사조 - 대공경험치가 사라진이후 시망이지만 뮤탈이나 공중공격불가의 고급유닛 킬링에 적절.
2템플러 - 마나빨리쓰고 합체나 합시다. 토스유닛들을 제외한 유닛들에게 꽤 쓸만합니다.
3.기초유닛을 무엇을 정할지 생각해봅시다.
저그 : 초반에 쓸만한 유닛 조합으로는
1. 1저글링+1울트라 - 지상군에서 꽤 강력한 조합이며, 질럿,추적자,탱크,불곰 모두다 쓸어버리기 좋으나 공중유닛을 선택하거나 지형을 이용해 농라할경우 답이 없다는 단점이 있고, 울트라나 저글링이 너무 빨리 소모되면 눈물만납니다.
2. 2뮤탈 - 가스 30을 모두 뮤탈리스크에 올인해 대공권을 장악한후 괴롭히는 겁니다. 초반 공중 경험치가 있었을때는 꽤 흥했으나 공중경험치가 없어진 지금은 조금 빛이 바랜 빌드. 하지만 탱크를 택한 테란이나 불곰, 저그 , 토스등 대부분의 빌드를 압살가능합니다.
3. 2 버로우바퀴 - 개인의 컨트롤에 따라 다릅니다. 다만 바퀴는 미네랄만 먹으니 언제 다 소모하고 다시뽑을지에 대한 타이밍 감각이 매우 중요.
4. 2 저글링 - 가스를 아끼고 일단 눈치를 보는 전략입니다.
이정도가 있습니다. 숫자는 머릿수가 아니라 미네랄 미는량을 말한겁니다.
저그는 보통 가스를 3~4정도 밀어, 아드레날린,공업저글링을 확보한후 적의 홀을 미친듯이 테러하거나 힘싸움에서 엄청난 지원을 하는 역활입니다. 저그의 속도에 따라 아군이 공격일변도의 플레이가 가능한지, 수비일변도의 플레이가 되는지 결정되는 중요한 역활이며, 후반엔 가스만 쓰는 감시군주와 점막종양을 이곳저곳에 뿌려 맵핵플레이가 가능합니다. 공격,테러에 모두 유용한 종족입니다.
테란
1.홀업후 시작 - 본진 방어하기 좋은 빌드긴한데 센터 힘싸움에 좀 정교한 컨트롤이 요구됩니다. 의료선이 없으니까요. 보통 궤도사령부를 뽑아 벙커를 적절히 활용하지만 저그가 많다면 행성요새도 고려해볼만합니다.
2. 2탱크. - 가스 30을 모두 탱크에 올인해 센터를 잡고 농락하는 빌드입니다. 센터 위,아래의 언덕에서 시즈모드후 쾅쾅!. 다만 버로우바퀴 ,점멸 추적자 , 6뮤탈이나 다크템플러에게 재미를 못보고 터질경우 암울합니다. 거의 2뮤탈수준.
3. 2의료선 + 2마린 or 2불곰 - 센터힘싸움 잡기 아주 좋은 빌드. 다만 마린으로 갈경우 추적자에게 탈탈털리기 쉽고, 불곰으로 갈경우 저글링+질럿에게 약하다는 기본상성떄문에 아군과 함꼐가거나 조금 머리를 써야합니다.
테란의 역활은 공격과 수비인데, 테러는 아주 효율이 시궁창입니다. 수비,공격에 올인하며, 핵은 정말 업그레이드도 다해서 가스가 남아돌떄나 씁시다. 가끔 그렇게 써도 물량이 딸려서 지는경우가 많아서..
스캔을 자주뿌려서 상대가 뭘 뽑는지 보고, 유닛을 선택하는 사기플레이가 가능한 무난한 종족입니다.
토스
1.2질럿 - 2저글링처럼 살살 눈치를 보는 전략입니다.
2.점멸 추적자 - 컨트롤에 따라 탱크,마린+의료선에 강한 조합입니다만, 불곰만나면 눈물이 추적추적
3.4템플러 - 마나만 다쓰고 바로 빠져서 아칸이나 만듭시다. 저글링,마린학살에 괜찮은 조합
4.4다크템플러 - 테란이 없으면 센터장악,힘싸움을 꿈도 못꾸게 만드는 빌드입니다. 다크를 절대 죽여선 안됩니다. 보통 홀에는 디텍팅이 있지만 홀과 홀사이 작은 길에는 디텍팅영역이 없기때문에 그곳을 다크로 장악해 지원군을 차단하는등, 전략유닛입니다.
5.6불사조 - 공중경험치가 잇던 시절에는 사기빌드로 악명높았지만 현재는 그냥 시궁창. 공중경험치가 없어져서 뮤탈이 인기가 식고, 추적자,마린에게 펑펑터지는 안습함이 자주보입니다. 하지만 질럿+저글링만으로 구성된 중앙 힘싸움에서 생각보다 힘이됩니다. 다만 불사조를 버리는 타이밍도 꽤나 중요해서 감각이 필요합니다.
토스는 공허포격기와 모선 이것저것을 이용해 테러하기 좋고, 거신이나 템플러를 이용해 수비하기 괜찮은 종족입니다. 초중반에 불멸자의 힘으로 적군압살도 쉽고, 거신,템플러로 화력지원도 쏠쏠한 직업이고, 옵조버를 사방에 뿌려 테러를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능력까지 있습니다.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