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전 게시판 beta
협동전 공략 beta
작성자 |
|
||
---|---|---|---|
작성일 | 2018-01-04 15:29:26 KST | 조회 | 1,264 |
첨부 |
|
||
제목 |
한호너 화염기갑병+호너 유닛 공략 (장문 주의)
|
음... 공략이라고 했지만, 솔직히 팁이라고 하는게 적절한 것 같네요... 그래도 워낙 이런 조합을 쓰는 게 여러분들도 처음일 거라고 생각해서 일단 공략이라고 적었습니다.
---------------------------------------------------------------------------------------------------------------------
한호너가 나온지 이제 석달이 지났고, 공략이나 조합 연구가 마친 상태입니다. 한호너의 장점은 한 유닛의 현장 즉시 충원 방식으로 인해 병력이 구멍이 생겨도, 이동식 병영 (강습 갈레온) 덕분에 현장에서 충원이 가능해서 딜로스가 적은 게 큰 정점이고, 호너의 유닛은 높은 체력과 화력으로 우직한 딜과 탱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 이 둘의 단점을 둘의 장점이 잘 보완해줘서 치명적인 단점이 그닥 존재하지 않다는 시너지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단점도 존재하는 데, 가장 큰 이유는 병력의 유지력. 호너의 유닛은 체력 회복 수단이 존재하지만, 비전투시에 체력을 회복하며, 최대 초당 4.8 정도까지 체력을 회복할 수 있는데, 한 유닛은 체력 회복 수단이 특성에 주어지지 않습니다. 이것이 입문자들이 한호너를 플레이하고 까다로운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싸고 빠르게 인구수 200을 채웠다고 해도, 구피닉스랑 맞먹는 병력 유지력 떄문에 인구수 후반에 인구수 4,50이 날라가는 건 일상다반사로, 조합은 굉장히 빠르게 구축 가능하지만, 그만큼 무너지는 속도도 무시 못합니다.
체력 재생 능력이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는데, 딱 한 유닛이 자력 체젠을 하는 한의 유닛이 있는데, 바로 사신입니다. 사신이 비록 한호너의 기본 유닛으로써 십중팔구 쓰는 이유는 많이 있지만, 그중엔 한 유닛 중에서 유일하게 체력 재생을 하는 유닛이기 떄문입니다. 덕분에 한번 교전해도 체력이 재생되서 만반의 준비로 싸울수 있기 떄문에 시간적, 자원적 여유가 생겨, 그 돈으로 다른 곳에 쓸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이런저런 이점이 워낙 다른 한 유닛들보다 많아서 많이 애용하고 있죠.
그렇지만, 한호너는 점점 인기를 잃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 가장 큰 이유는 얼마 없는 유닛 조합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한호너의 가용 유닛은 8기이지만, 유닛들 반이 체력 재생이 없어서 조합을 빨리 갖춘다고 해도, 조합이 굳어지는 속도가 느리거나, 구축 자체가 힘들어서 결국 조합이 한쪽으로 쏠려서 단조로워진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모든 조합에서 체력 재생이 가능한 사신이 고정으로 쓰이고, 나머지 한의 유닛은 보조용이나 아예 안쓰이고 있이며, 호너 유닛도 호불호가 갈리고 있는게 제가 생각하는 현실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런데, 화염차+바이킹+밤까마귀 조합이 생기고 나서 (실제 시너지도 좋습니다.), 저 자신도 알라라크와 자가라랑 맞먹는 단조로운 조합이 질려서 한동안 안하다가, 이 조합을 쓰고 나서, 한번 저도 사신을 뺸 유닛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 제가 여러분께 소개할 조합은 화염기갑병+호너 유닛 조합입니다. 이 조합이 포커스는 화염기갑병에 있는데, 실제로 저나 다른 사람들, 아니면 여러분들도 느끼겠지만, 한호너로 화염기갑병을 썼던 기록은 거의 전무하다고 봐도 될정도로 정말 안쓰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유닛을 어떻게든 쓸 수 있게끔 제가 한번 조합을 만들어 봤습니다.
(주의: 이 조합은 일반 아주 어려움 난이도에 실험이 실행했으며, 상황에 따라 빌드 순서가 유동적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 인구수 14에 보급고를 짓고, 보급고를 짓는 동안에 정제소를 모두 다 짓고, 인구수 약 18 내외에 갈레온을 짓습니다.
2. 갈레온이 완성되면 바로 무기고를 짓고, 무기고 다음에 융합로까지 바로 짓습니다. 이떄,
2-1. 멀티 바위맵이면: 사신 2기 뽑아서 같이 멀티 바위 제거하고 바로 사령부를 짓습니다.
2-2. 멀티 병력 주둔 맵이면: 갈레온은 대기하다가, 융합로가 완성되면, 비행정을 지어서 비행정 연구가 완성되면, 멀티 병력을 제거합니다.(이때, 상황에 따라 사신을 소수만 찍어서 보조하는 것도 좋습니다.) 멀티 제거되면 사령부 짓고 2번을 다 완성하시기 바랍니다.
3. 사령부 건설 중일떄, 멀티 가스를 바로 지어서 가스를 빨리 채취하게 합니다. (본진 사령부는 이떄 놀면 안됩니다. 계속 일꾼 뽑아서 멀티 가스 채취하려 간 일꾼 6마리 메꿔놓고, 다 메꾸면 랠리포인트를 멀티 광물에 찍어서 일꾼 생산을 한발짝 빨리 끝나게 합니다.) 본진과 멀티 광물 일꾼은 각각 일꾼 숫자가 써져있는 최대 일꾼 수까지 뽑습니다.
4. 멀티 활성화중에 무기고 2개까지 늘려서 공/방1업을 동시에 연구하기 시작하고, 망령 공속 증가 -> 망령 영구 은폐 -> 밤까마귀 연구 순서로 연구하고, 공학 연구소에는 화염기갑병 관련 업글들을 연구합니다.
Q. 갈레온 비행정은 5개 다 올려야 하지 않나요?
A. 아닙니다. 사실 이게 이 조합이 다른 조합의 가장 큰 차별점인데, 비행정은 처음 뽑으면 갈레온 1기에만 비행정을 붙이고 나머지는 일체 비행정을 안 붙입니다. 그 이유는, 바로 여기에서는 비행정을 보조 화력으로 쓰는게 아니라, 그저 어그로용과 화력 분산용으로만 쓰기 떄문입니다. 갈레온당 비행정은 6기까지 나오는데, 6기만으로 충분이 초반의 적 화력을 분산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행정 자체도 그리 빨리 죽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갑니다. 또한 다른 4기에는 안 붙이므로 가스 800이 절약되서, 이걸로 호너의 유닛을 한발짝 빠르게, 더 많이 뽑을 수 있습니다. 후반에 가도 조합이 굳어지기 때문에 굳이 가지 않아도 되고, 어자피 가스는 호너에 투자하기 때문에 모든 갈레온이 비행정을 안 붙여도 됩니다.
5. 여기까지 오면 신나게 유닛 뽑을 시간입니다. 가스가 다른 조합보다 정말 많이 쌓였을 텐데, 일단 먼저 망령, 밤까마귀를 각각 1회 소환하고, (단, 밤까마귀는 1개만 유지합니다.) 가스가 바닥 날때까지 초~중반에는 망령, 바이킹을 뽑습니다.
5-1. 바이킹은 공세 조합에 따라 달라지는데, 지상 우세 조합이면 지상모드로 운영하고, 공중 우세 조합이면 공중모드로 운영합니다.
5-2. 남은 갈레온 4기도 이떄부터 다 짓고, 갈레온 5기가 나오면, 호너 유닛을 뽑고, 충전 중이면 그떄부터 화염기갑병을 뽑습니다.
6. 타격 플랫폼은 일체 안 지으며, 병력을 인구수 200까지 꽉꽉 채워놓습니다.
일단 제가 연구한 빌드는 여기까지인데요, 화염기갑병이 체젠도 없고, 근접형이라 잘 녹을 것 같아서 별로일거라고 생각하는데, 피통 135에 경장갑 유형이라서 그런지 그렇게 빠르게 죽지는 않더군요. 경장갑 추가 피해를 주는 유닛이 다섯 손가락 안에 꼽을 만큼 적기도 하고, 135도 기본적으로 밥값은 하며, 죽음 효과 떄문에 전방의 적 유닛이 버벅거려 프리딜 넣는 것도 유지력 보존에 한몫 한 것 같습니다.
또한, 갈레온에서 가스 800을 아꼈기 때문에, 호너 유닛이 다른 조합보다 잘 나오며, 게임시간 20분 중반에 평균 전순 5기, 망령 6~8기, 바이킹 6~8기, 밤까마귀 1기로 많이 나옵니다. 보는 사람 입장에는 참 흐뭇한 표정이...ㅎㅎㅎ...
이 조합의 단점은 메카닉 테란, 스카이 공세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메카닉 테란은 막긴 하겠지만 유닛 소모율이 다른 조합보다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만 아시면 됩니다. (그래도 사신보다는 났습니다. 사신은 오버 드라이브로 반드시 공중에서 싸워야 하니까요...)
스카이 공세일 경우, 화기갑의 역할이 무력화해지기 때문에, 첫 공세가 스카이라고 판단 될떄, 3번부터 사신+호너 유닛조합으로 전환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또한, 초반 유닛이 갈레온1기 (비행정 붙은 상태) 밖에 없으므로, 망령이 나올때 까지는 함대 출격과 우주 정거장 투입 패널을 적절하게 써서 시간을 벌어야 합니다.
정말 몇개월만에 적는 공략인지라 여기저기 문제가 있을 수 있겠지만, 최선을 다해 써보았습니다. 글보다 눈으로 직접 보고 싶으신 분들이 있을까봐 리플 1개를 첨부하며, 궁금증, 글에 문제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